본문 바로가기
  • log.info(" Nice Developer ");
Study/SQL

[SQL] DDL/DML/DCL에 대하여

by kwan97 2022. 7. 20.
Database 작업을 진행하려면 SQL문을 사용하여 조회, 생성, 수정, 삭제 등을 해야 한다.
이러한 SQL문을 분류해보면 DDL, DML, DCL로 분류할 수 있다.
  • DDL = 데이터 정의어
  • DML = 데이터 조작어
  • DCL = 데이터 제어어

 

🚩DDL(Date Definition Language)이란?


DDL(데이터 정의어)는 DB를 정의하는 언어를 뜻한다. 

데이터를 생성, 수정, 삭제 등 데이터의 전체 골격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.

즉, DB와 table을 생성, 변경, 제거해주는 역할

 

>>DDL 명령어 종류

  • CREATE
    • DB, table 등을 생성하는 명령어
  • ALTER
    • 테이블을 수정하는 명령어
  • DROP
    • DB, table을 삭제하는 명령어
  • TRUNCATE
    • table을 초기화시키는 명령어

 

🚩DML(Data Manipulation Language)이란?


DML(데이터 조작어)는 정의된 DB에 입력된 레코드를 조회, 수정, 삭제 등의 역할을 하는 언어이다.

즉, table 내에 있는 행/열(=데이터들)을 입력, 변경, 수정 등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언어라고 생각하면 된다.

 

>>DML 명령어 종류

  • SELECT
    • 데이터 조회 시 사용 명령어
  • INSERT
    • 데이터 삽입시 사용 명령어
  • UPDATE
    • 데이터 수정 시 사용 명령어
  • DELETE
    • 데이터 삭제 시 사용 명령어

 

🚩DCL(Data Control Language)이란?


DCL(데이터 제어어)는 DB에 접근하거나 객체에 권한을 주는 등의 역할을 부여하는 언어이다.

쉽게 말해 DB의 접속 권한 등을 부여하거나 수정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.

 

>>DCL 명령어 종류

  • GRANT
    • DB 사용자에게 특정 권한을 부여시 사용하는 명령어
  • REVOKE
    • DB 사용자에게 부여한 권한을 박탈, 회수 시 사용하는 명령어
  • COMMIT
    • 트랜잭션의 작업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명령어
  • ROLLBACK
    • 트랜잭션의 작업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됐을 때 전 상태로 복구해주는 명령어

 

728x90

'Study > 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SQL] SQL 명령어 모음  (0) 2022.07.21

댓글